녹색전환연구소는 이유진 소장의 대통령실 기후환경에너지비서관 내정을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기후대응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른 지금, 녹색전환을 위한 정책 경험과 시민사회와의 연대 역량을 두루 갖춘 인사가 중대한 책임을 맡게 된 것은 뜻깊은 일입니다.
이재명 정부는 출범과 함께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온전히 달성해야 할 ‘기후정부’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윤석열 정부에서 후퇴한 기후정책과 에너지전환을 복구하고,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기반을 새롭게 마련해야 할 때 입니다.
특히, 이재명 대통령이 대선후보 당시 제안한 ▲기후에너지부 신설 ▲2040년 탈석탄 ▲중소기업 탄소중립지원법 제정 등은 정밀하고 세심한 정책 설계를 요하는 과제입니다.
녹색전환연구소는 기후정책의 실현 가능성은 단지 비전 제시가 아니라 실행력 있는 시스템 구축과 재정 기반, 그리고 지역과 시민과의 지속적인 소통에 달려 있다고 봅니다. 이에 따라 이번 인사는 기후정책의 체계화와 민주적 거버넌스 실현을 위한 첫걸음으로 평가합니다.
"현장과 정책을 연결하는 실천형 기후정책 싱크탱크로 도약 약속"
동시에 녹색전환연구소는 더 막중한 책임감을 받아들이고 있습니다.이유진 소장은 연구소에서 정책 연구와 현장 기획, 다양한 연대 활동에 이르기까지 핵심적 역할을 수행해 왔습니다. 그의 부재는 아쉽지만, 연구소는 다층적 리더십과 탄탄한 팀워크를 기반으로 앞으로 변함없이 독립적이고 날카로운 정책 감시와 대안 제시에 나설 겁니다.
오히려 이번 변화를 새로운 도약의 계기로 삼아, 현장과 정책을 잇는 실천형 민간 기후정책 싱크탱크로서 더욱 힘 있게 나아가고자 합니다.
기후위기 대응은 기술만으로 해결할 수 없습니다. 경제와 사회, 시민들의 삶 속에 깊이 자리한 복잡한 이해관계를 함께 전환해 나갈 때에만 실질적인 변화가 가능합니다. 이재명 정부 임기 5년은 한국 사회가 기후대응을 위한 기틀을 만들 수 있는 마지막 ‘골든타임’일 수 있습니다.
또 기후위기 대응 과정 하나하나가 민주적 숙의와 시민참여의 원칙을 되살려야 한다는 점에서, 이 길은 결코 정부만의 몫이 아닙니다.
녹색전환연구소는 기후대응 정책이 어느 때보다 빠르고 사려깊게 추진되어야 하는 이때, 싱크탱크로서의 역할을 성실히 수행하며 필요한 대안을 제시해 나가겠습니다.